책 이야기

의존적인 관계는 서로의 중독을 부채질한다. 부부관계

pia99 2016. 7. 26. 20:34

내면아이 모습으로만 살아가는 사람들은 매우 창의적이고 카리스마 넘치지만 생각을 어떤 구체적인 형태로 만들어내지 못한다. 게다가 적정한 한계를 설정하는 성인자아의 모습을 지니지 못해서 지나친 중독이나 분노, 혹은 폭력적인 행위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입힐 수도 있다.

 의존의 기본이 되는 것은 성인자아와 내면아이의 단절에서 오는 공허함과 외로움이다. 이 둘이 단절될 때 의존적인 사람들이 모여 의존적인 관계를 만든다. 사람들은 대부분 하나 이상에 중독되어 있는데 의존적인 관계는 서로의 중독을 더 부채질한다.

  이런 사람들은 2가지로 나뉘어 각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첫번째는 자기애적인 사람 혹은 남의 시중을 받으려고 하는 사람이다. 두번째는 공감적인 사람 혹은 남의 시중을 드는 사람.

 

자기애적인 사람 :  당신은 내 감정에 대한 책임이 있어, 타인에게 노골적인 조종 행위를 한다.

                          자기애적인 모습으로 타인과 상호작용하면 매 순간 자신이 어떤 기분이 드는지에만 집중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은 안중에도 없는 모습을 보인다.

                      많은 자기애를 가진 사람은 남이 하는 말을 제대로 듣지 못한다. 왜냐하면 자신이 다음에 무슨 말을 할지 생각하느라 머릿속이 너무 바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과 마음을 나누지 못하고 사랑을 주기보다는 받길 원한다. 또한 내면아이를 책임지고 돌봐줄 적임자를 평생찾아다닌다.

     반사회적 인격장애, 편집성 정신분열증

남의 시중을 드는 사람 :  나는 타인의 감정에 책임이 있어라는 믿음. 남의 시중을 들며 은밀한 조종 행위를 함

                                  자신의 감정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 건강한 자이애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다른 사람의 감정에 지나치게 집중하면서 당장에라도 다른 사람을 책임질 준지. 타인을 보살피기 위해 헌신한다.  심하면 우울장애 해리성장애 극심한 긴장

 

 이상적인 것은  공감과 자이애 사이의 균형 이다, 방법은 내면의 관계가 건강하고 충만해야만 외부적인 관계에서도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내면의 단절과 그로 인한 방어적 의존적인 행동으로 고통을 겪으며 상담을 받거나 도움을 청하러 온다. 불안, 우울 죄책감을 느끼거나 결혼 생활에서 부부싸움, 거리감 권태, 열정 부족 세스리스 등의 문제로 오기도 한다. 그런 사람들은 끝나지 않는 문제로 힘겨루기를 한다. 힘겨루기는 자신은 다른 사람을 통제하려고 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통제 받기는 싫어할 때 생기는 불가피한 결과다. 자신을 보호하고 방어하려는 마음에서 비롯되는 중독과 의존적인 행동은 결국 외로움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 외로움과 내면의 단절에서 비롯된 공허함을 채우기 위해 중독과 의존 행위는 더욱 강화된다. 결국 이런 패턴은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져 나는 가치가 없고 사랑스럽지 않아라는 믿음을 더욱 강화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어떤 여인은 예전에 의존적인 관계를 맺으며 남의 시중을 들었다. 이 과정에서 불행한 기분을 느끼며 몸이 아프기까지 했다. 나는 이런 스트레스의 원인이 타인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을 시중드는 것을 멈추고 나를 돌보면, 사람들에게 외면당하고 혼자 남을 거라고 믿었다. 그런 두려움에 다른 사람들의 시중드는 행위를 멈출수가 없었다. 나중에는 자신을 돌보는 옳은 선택을 내리기는 했지만 처음에는 굉장히 겁이 났다. 내면적으로는 좋은 느낌이 들었다. 비록 부면 사람들은 더이상 시중을 들어주지 않는 나에게 화를 냈지만 말이다. 그 과정에서 내가 혼자 남게 되리라는 두려움이 느껴지는 순가도 있었다. 내가 남편의 시중드는 것을 멈추자 우리 부부는 별거를 했기 때문이다. 2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부부관계를 회복하고 있으며 예전보다 외로움도 줄었따. 내 욕구를 무시하고 다른 사람의 시중을 들 때 난 불행하다.

내 감정을 즐겁게 살리느냐 아니면 희생하고 비참하게 만드느냐는 타인의 반응과는 상관없이 내가 결정해야 한다.

 성인 자아가 일부러 잘못된 선택을 내리는 것은 아니다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고 하다 보니 내면아이의 고통과 감정에 마음을 닫아버리는 것이다. 내면의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으 그저 더 많은 고통으로 이어질 뿐이다. 내면아이의 불편함과 고통은 분명히 그자리에 있는데, 마치 없는 것처럼 무시한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자신은 내면아이와 유대감을 맺지 못하면서도 배우자나 애인, 나중에는 자녀에게조차 자신을 돌봐주는 성인자아가 되어주길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 즉 자신의 내면아이를 그들에게 넘김으로써 자신을 버리는 것이다.

 

 섹스 중독 : 누군가가 자신의 성적욕구가 관계보다 더 중요하다고 느끼고 그로 인해 관계에 문제가 생긴다면 섹스 중독의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